본문 바로가기

OLD & ETC

(97)
'주말에 일찍 일어난다는 것'의 의미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를 포함해서, 평일에는 그렇게.. 아침 일찍 일어나기를 싫어한다. 왜냐. 눈을 뜨면, 즉 침대에서 나올 수 있는 최대한의 시간 극한의 시간까지 뒹굴거리면서 누워있고 핸드폰을 하면서 출근해야하는 그 준비해야하는 시각 데드라인을 최대한 미루고 싶기 때문이다. 침대에서 나오게 된다면, 그 시각은 이미 데드라인 시각이기 때문에 바로 씻고 바로 밥먹고 바로 옷갈아 입고 출발해야 회사에 도착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회사를 가게 되면, 힘들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회사에서 하는 일은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일, 자신이 재밌어하는 일과는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회사는 자아성취의 공간이 아닌 돈을 벌기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만약 회사가 아니고, 08시에 하와이로 출발하는 비행기를 타기위..
지식노동자에게 마음챙김이 필요한 이유 1. 지식노동자는 피터 드러커가 처음으로 제시한 개념으로, 기존의 육체 노동자들의 특징과는 정반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육체 노동자는 단순한 작업을 반복하며, 시간당 효율이 겉으로 드러나고, 따라서 이러한 작엽효율성을 관리, 감독, 및 개선이 가능하다. ex) 1시간에 제품5개를 조립하던 육체 노동자 A가, 오늘 1시간에 3개도 조립하지 못한다면,(겉으로 드러난 효율 감소) 관리자는 이를 인식하고 작업자의 상태 파악, 에로 사항 점검 등을 통해서 휴가를 주거나, 작업환경을 개선시켜주는 등의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이는 결국 노동자 A가 1시간에 제품 5개를 조립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지식 노동자는 이와 달리, 효율이 겉으로 드러나지도 않고, 하는 일 자체도 모호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들..
대한민국에서 누구보다 더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 오늘 하고 싶은 이야기는 대한민국에서 누구보다 열심히 사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요즘은 인터넷과 미디어의 발달로 원래라면 절대로 알지 못할 이야기들을 접할 수 있다. 그간 인터넷하면서 듣고 봤던 이야기들을 이 기회에 한 번 모아보려고한다. 사례에 대한 통찰이나 연구자로서의 적용은 다음 포스트에 담도록 해보겠다. 첫번째 사례, 다큐 3일 EP.61 서울남부지방법원의 72시간 1번째 사진을 보면, 21시 40분에 출근 12시간 40분경과이므로 09시에 출근하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시각에 새로운 업무를 계원이 가져다 주는데, 그 높이는 대략 30cm정도 (2번째 사진으로 유추가능)이다. A4 몇 장 분량인지 대략 계산해보면, a4용지의 두께는 0.14mm이지만 종이들이 접혀있고, 구김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