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6)
오늘부터 새로운 사람으로 탈바꿈 하는 방법 (뇌과학, 망상활성계, 자기계발) 시크릿(Secret) 혹은 끌어당김의 법칙 에 대해 들어보았는가? 자신이 원하는 걸 마음속으로 계속 생각하다보면 결국 그것을 얻어낸다는 개념이다. 오늘 이야기할 내용은 이러한 끌어당김의 법칙의 과학적인 근거이고, 그것의 달성을 위한 시각화(visualization)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기전에, 우리의 뇌(brain)에 대해 이야기로 시작해보고자 한다. 우리의 뇌는 눈과 귀 등의 감각기관으로 얻어진 정보를 100% 온전히 받아들이지 않는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뇌는 과부하로 쉽게 피곤해지고 망가져버릴 것이다. 즉, 뇌의 과부하를 막기 위하여 우리는 시상하부에 필터를 장착하고 있다. 그 이름은 망상활성계 (ritucular activating system)이다. 망상활성계가 하..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생각 [82년생 김지영] 영화가 개봉했다. 그와 동시에 이에 대한 상반된 의견들, 대립되는 의견들이 표출되고 있다. 나는 91년생 남자이다. 나의 생각을 담담하게 적어볼까한다. 물론 이 주제는 민감하고 많은 다른 의견들이 있기 때문에, 얘기하지 않고 넘어가는 것이 단기적으로는 편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언젠가 맞닥뜨리게 될 주제라고 생각한다. 또한 충분히 생각해볼만한 거리가 많고, 각자의 가치관 속에서 다시금 바라보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1. 나는 82년생 김지영 책을 읽은 적이 없다. 서점에서 종종 표지만 봤다. 2. 나는 82년생 김지영 영화를 본적이 없다. 3. 따라서, 지금 쓰는 글은 뇌피셜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82년생 김지영이 다루는 주제-여성의 힘든점 등-..
닥터 프로스트를 보며... 1편 요번에 닥터프로스트 시즌4가 시작되었다. (네이버 웹툰) 과거 웹툰을 많이 보던 시절, 즐겨봤던 웹툰이기도 했고, 오랜만에 내용 catch-up도 할 겸 시즌 1을 보았다. 2011년도에 시작하였던 웹툰. 무려 8년전. 지금 보니까 아예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자기계발서도 마찬가지인 것 처럼, 같은 내용이더라도 그 내용을 읽는 나의 시기마다 더 깊게 다가오는 부분이 달라지기 마련인데, 이번 닥터 프로스트 시즌1도 마찬가지였다. Caes 1을 보면서 몇 가지 생각해볼만한 대사, 상황들이 있어서 공유하고 그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쉽게 쉽게 웹툰으로 넘기기에는 굉장히.. 공감가는 내용들도 있어서.. 6화 : [통신]은 통했다고 믿는 것. [전달]은 전하면 도달한다는 뜻. 오직 그뿐이라고 그..